2025/03 58

3/28/2025- Morning Brief

💥 주요 이슈: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격화와 인플레이션 데이터 대기미국 주식 선물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격화로 인해 하락세를 보임.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선물(YM=F): -0.1%S&P 500 선물(ES=F): -0.1%나스닥 선물(NQ=F): -0.3%연준의 선호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지수 발표를 앞두고 시장이 신중 모드.🚗 무역전쟁 여파: 자동차 관세와 기업 반응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 4월 3일부터 시행 예정.Goldman Sachs 분석:자동차 가격 최대 15,000달러 인상 가능성 제기.미국 내 제조 차량조차 부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최대 8,000달러 인상 가능.자동차 주가 타격:GM(-7.4%), Ford(-3..

미국장 뉴스 2025.03.28

일론 머스크와 DOGE, 다음 타깃은 어디?

전 트럼프 경제 고문이 제안하는 방향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가 출범한 지 벌써 3개월이 지났다. 정부 낭비를 줄이겠다는 목표로 시작한 이 부서는 시작부터 현재까지 논란의 중심에 있다.이에 전 트럼프 행정부 경제 고문이자 골드만 삭스 임원이었던 게리 콘(Gary Cohn)은 머스크의 접근 방식에 대해 조언을 남겼다. "처음부터 메스를 들고 미세 조정하려 하지 말고, 먼저 마체테로 큰 덩어리부터 잘라내야 한다!"🔍 정부 효율성 개선, 이렇게 해야 한다!💡 중복 규제부터 정리하자!금융 서비스 업계에는 8개 이상의 규제 기관이 존재.반면 유럽과 아시아는 2개 정도의 규제 기관으로 관리함.이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소비자 보호 규제..

미국 뉴스 2025.03.27

3/27/2025- Morning Brief

📈 오늘의 미국 주식시장 요약 리포트🚨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로 인한 시장 혼란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함.관세 시행일은 4월 2일로, 캐나다와 EU도 보복 관세를 준비 중.트럼프는 캐나다와 EU가 협력하여 미국 경제에 해를 끼친다면 더 큰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이에 따라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 선물지수 모두 하락세를 보였음.일본과 유럽의 자동차 주식 급락.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하락세:GM: -6%Stellantis: -2%Ford: +1%💡 시장 반응 및 전망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 증가.연준의 파월 의장은 가격 상승이 "일시적"이라며 안심시키려 했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미국장 뉴스 2025.03.27

3/26/2025- Morning Brief

📈 테슬라의 믿음 투자: 머스크가 돌아왔다!💡 이슈 배경 및 분석일론 머스크가 테슬라(TSLA) 본사로 복귀하며 투자자들에게 비전을 다시 확립하려는 모습.테슬라 주가는 지난주 동안 25% 상승하며 머스크 복귀 이후 급등.머스크의 정치적 논란과 소셜 미디어 개편으로 인해 테슬라 브랜드 이미지가 흔들렸으나, 복귀와 함께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는 모습.🌟 투자 인사이트테슬라는 ‘믿음 투자(Faith Investing)’의 대표 사례로, 현재 실적보다 미래 잠재력에 주가가 더 크게 영향을 받음.캐시 우드 등 일부 전문가들은 로보택시가 테슬라 가치의 90%를 차지할 것이라 전망하며, 주가가 5년 안에 $2,600에 이를 것이라 주장.현재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의 판매 부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미래 혁..

미국장 뉴스 2025.03.26

보잉, 트럼프에게 SOS

📝 이슈 배경보잉은 2018년 2019년 두 차례의 737 Max 추락 사고로 인해 총 346명의 사망자를 냄, 이는 조종특성향상 시스템(MCAS) 소프트웨어 오류로 발생함.2021년 법무부와 기소유예합의를 맺어 형사 유죄를 피할 수 있었음.그러나 2024년 중 또 다른 737 Max 사고로 인해 법무부는 보잉이 합의 조건을 위반했다고 판단, 2024년 7월 유죄 합의로 전환됨.보잉은 바이든 행정부와의 유죄 합의를 트럼프 행정부가 철회하도록 요청 중,형사법 유죄 판결이 기업의 연방 계약 및 대출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어필 중.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보잉과 고성능 전투기 계약을 체결, 이를 계기로 유죄 합의 철회를 더 강하게 어필 중.⚖️ 법적 논란과 문제점유죄 합의 철회 시도보잉은 트럼프행..

미국 뉴스 2025.03.26

미국 vs 후티 반군, 해상 교역 비상

🌍 중동 정세 긴장 고조 -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미 공습 계속💥 주요 이슈 요약미국의 예멘 후티 반군 공습 지속미국이 예멘 후티 반군을 겨냥한 공습을 10일째 지속하고 있음.트럼프 행정부는 후티 반군을 통해 이란에 압박을 가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됨.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월츠는 "반군 지도부와 무기 공장을 타격했다"고 주장했으나, 후티 측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음.공습 피해 현황사나(Sanaa): 공습으로 인해 최소 2명 사망, 13명 부상.사다(Saada), 호데이다(Hodeida), 마리브(Marib) 등 후티 거점 지역도 폭격 대상.후티 반군은 공습에 대응해 이스라엘을 겨냥한 미사일 공격을 감행함.해상 교역과 안보 위협후티 반군은 2023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00여 척의 상선..

미국 뉴스 2025.03.25

3/25/2025- Morning Brief

🎯 주요 이슈 요약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정 기대감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예정된 관세를 일부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됨.S&P 500과 Nasdaq 100 선물지수 각각 0.3% 상승, 다우존스 선물지수는 0.2% 상승.다만, 제약 및 자동차 부문에 대한 새로운 관세 계획이 예고되어 있어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함.경제 성장 둔화 우려연준 의장 제롬 파월은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으나,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언급함.소비 심리 역시 둔화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경제 상황은 안정적임.소비자 신뢰지수와 신규 주택 판매 등 경제 지표가 발표될 예정으로 시장 반응 주목.중국 기술주 급락알리바바를 포함한 중국 주요 기술주들이 3년 고점에서 급락하며 조정 국면에 진입.항셍 테..

미국장 뉴스 2025.03.25

미국 주택금융공사 민영화 되나?

📈 트럼프, 팬니메이·프레디맥 민영화 추진 가능성 재점화!"팬니메이와 프레디맥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음.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엔 진짜 민영화 카드를 꺼낼까?"🏦 팬니메이·프레디맥은 무엇인가?팬니메이(Fannie Mae)와 프레디맥(Freddie Mac) 은 미국의 주요 주택금융기관으로, 은행이 제공한 주택담보대출을 매입하여 증권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판매함으로써 주택 시장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두 기관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정부의 관리 하에 있음.🏦 핵심 내용 분석① 이슈의 배경:팬니메이와 프레디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정부 통제 하에서 운영됨.트럼프 재당선 이후 민영화 기대감이 높아져 주식이 350% 이상 상승함.② 주요 쟁점:트럼프 행정부가 팬니메이·프레디맥 민영화..

미국 뉴스 2025.03.25

3/24/2025- Morning Brief

🚨 [시장 긴축 vs 관세 완화] 월가, 두 얼굴의 롤러코스터 장세🗓️ 이슈 통합 요약최근 미 연준(Fed)의 급격한 금리 인상(0.75%p)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잠시 상승 후 곧장 급락세를 보였음.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긴축 기조 강화와 악화된 경제 지표(주택 시장 급락, 제조업 침체 등)로 인해 경기침체 우려가 더욱 깊어졌기 때문임.하지만 며칠 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정한 관세 부과('Liberation Day')가 예상보다 제한적일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분위기가 급반전됨. 특히 기술주와 자동차 업종의 타격 우려가 해소되자, 투자 심리가 살아나며 주요 지수(다우, S&P500, 나스닥)는 일제히 급등했음.📊 시장 핵심 이슈 요약1️⃣ 연준의 강력한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연준, 1994..

미국장 뉴스 2025.03.24

차트로 보는 역사: 미국 관세 연대기

📌 시대별 주요 사건과 특징1️⃣ 초기 관세 정책(1789~1815)1789년 관세법(Tariff of 1789)목적: 연방정부 수익 확보 및 제조업 보호결과: 연방정부의 무역 관리 권한 확립2️⃣ 보호무역주의 시대(1816~1860)1816년 관세법(Tariff of 1816)목적: 전후 영국과의 경쟁에서 미국 산업 보호1828년 혐오의 관세(Tariff of Abominations)특징: 지나치게 높은 관세율결과: 남부 주들의 반발로 무효화 위기(Nullification Crisis, 1832-1833) 초래의미: 남북 간 갈등 심화, 남북전쟁 원인 중 하나로 작용3️⃣ 남북전쟁 및 산업화 시대(1861~1913)모릴 관세법(Morrill Tariff, 1861)목적: 남북전쟁 시 북부 정부 전쟁비..

역사와 시장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