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장 뉴스

4월 2일, 글로벌 무역 전쟁의 시작?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책 분석

us-market 2025. 3. 19. 03:28

📌 4월 2일, 글로벌 무역에 ‘관세 폭탄’ 예고

(출처: JIM WATSON via Getty Images)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 미국이 받는 만큼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이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겠다며 주요 무역국에 대한 강력한 보복 조치를 예고한 것으로, 글로벌 시장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트럼프의 주요 관세 조치 현황
중국: 20% 관세 부과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철강·알루미늄: 3월 12일부터 신규 관세 적용
4월 2일 예정: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 발표 (최대 50% 가능성)


📌 ‘상호 관세’란?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무역 전략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받는 만큼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원칙을 천명하며,
👉 미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는 동일한 수준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 예시

  • EU가 미국산 위스키에 50% 관세 부과 → 미국은 유럽산 와인·샴페인에 200% 관세 부과 가능
  • 브라질은 미국산 에탄올에 18% 관세 → 미국도 동일한 수준으로 보복 조치 예상

2022년 기준 각 나라별 평균 관세율 (출처: yahoofianance)

 

📊 미국이 문제 삼고 있는 불공정 무역 요소
기존 관세 차이: 인도,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신흥국이 미국보다 높은 관세율 부과
비관세 장벽: 부가가치세(VAT), 보조금, 환율 조작 등 미국 기업에 불리한 요소 반영


📌 상호 관세 적용 방식 – 기존 ‘3단계 관세제도’ 폐기, 맞춤형 정책 도입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 맞춤형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며,
당초 검토되던 3단계(저·중·고) 관세 시스템은 폐기됨.

국가별 맞춤형 관세 부과 절차
1️⃣ 180일 내 국가별 관세 분석 및 조정 방안 마련 (미 상무부·무역대표부 주도)
2️⃣ 무역적자가 높은 국가부터 우선 적용 (중국, EU, 인도, 브라질 등)
3️⃣ 비관세 장벽(VAT, 보조금 등)도 반영해 최종 관세율 결정

🚨 특히, 멕시코·캐나다는 낮은 관세 등급을 요청했으나, 수용될 가능성 낮음.

  •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쉰바움: 4월 2일 이후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대응 검토 예정
  • 캐나다 정부 관계자: “4월 2일 미국 관세 부과가 ‘거의 확실’”

📌 ‘상호 관세’가 미칠 영향 – 글로벌 무역 전쟁 심화?

🔴 1. 미국 내 소비자 물가 상승

(출처: Scott Olson/Getty Images )

  • S&P 글로벌: 미국-중국·캐나다·멕시코 관세만으로도 소비자 물가 최대 0.7% 상승 예상
  • 수입품 가격 상승 → 기업·소비자 부담 증가 →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 2. 미국 기업에도 타격 – 수출 감소 우려

  • EU·중국 등 주요 무역국들, 보복 관세 예고
  • 미국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로 어려움 예상

🔴 3. 무역 협상 카드 vs. 글로벌 시장 혼란

  • 트럼프는 상호 관세를 협상 수단으로 활용해 상대국이 관세를 낮추도록 압박할 가능성 큼.
  • EU는 미국산 LNG 구매 확대 및 자동차 관세 인하 등 협상 의지 표명
  • 인도는 일부 제품의 관세를 선제적으로 인하하며 협상 준비 중
  • 반면, EU·중국 등은 보복 조치를 경고하며 무역전쟁 가능성 확대

📌 결론: 4월 2일이 글로벌 무역의 분수령이 될 것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기존 WTO 기반 다자간 무역 체제를 흔들고, 개별 협상 방식으로 전환할 가능성 증가
4월 2일 이후 각국의 대응에 따라 글로벌 시장 변동성 확대 예상
무역 전쟁이 본격화될지, 혹은 협상을 통한 조정이 이뤄질지 주목해야 할 시점


 

트럼프 관세 위협 및 조치: 연대표

1/ 21-23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캐나다를 중심으로 대규모 관세 위협을 가함. 발표 
1/ 26 트럼프가 콜롬비아에 25% 관세를 위협했으나, 이민 항공편 재개 합의 후 철회. 철회
2/ 1 멕시코, 캐나다, 중국에 대한 관세를 공식 발표하며 2월 4일부터 발효 예정. 발표 
2/ 3 트럼프가 입장을 번복하여 멕시코 및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연기하되, 중국에는 10% 관세를 부과. 철회 
2/ 10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 3월 12일부터 시행 예정. 발표 
2/ 13 여러 국가와 품목에 대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계획 발표, 4월 2일경 발효 예정. 발표 
2/ 14-25 자동차, 디지털 서비스세 등 여러 이슈를 상호 관세에 포함할 것이라고 언급. 발표 
2/ 26 트럼프가 EU를 비판하며, EU에 25% 관세를 위협. 발표 
2/ 27 중국에 대해 기존 10% 관세에 추가로 10%를 더 부과할 계획 발표. 발표 
3/ 4 캐나다 및 멕시코에서의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및 중국 제품에 추가 10% 관세 부과. 시행 
3/ 6 캐나다 및 멕시코에서 특정 품목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며 입장 번복. 단, 중국에 대한 관세는 유지. 철회 
3/ 7 캐나다산 목재 및 유제품에 대한 신규 관세 위협 발표. 발표 
3/ 12 전 세계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업체에 25%의 일괄 관세 부과. 시행 
4/ 2 상호 관세 마감일 및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전면 재시행. 시행 

 

 

 

자료출처

'Could be a shocker': Markets might not yet be grasping what Trump may do April 2 on reciprocal tariffs

 

'Could be a shocker': Markets might not yet be grasping what Trump may do April 2 on reciprocal tariffs

The president's next self-imposed tariff deadline is two weeks away, providing plenty of opportunity for economic uncertainty as markets try to guess how far the White House may go.

finance.yahoo.com

Exclusive | Trump Team Explored Simplified Plan for Reciprocal Tariffs - WSJ

What are reciprocal tariffs? Trump's trade agenda explained – DW – 03/04/2025

 

What are reciprocal tariffs? Trump's trade agenda explained – DW – 03/04/2025

Donald Trump pushes ahead with tariffs on Canada and Mexico and doubles the levy on imports from China . Reciprocal tariffs on the rest of the world could be next, so what will it mean for world trade?

www.dw.com